top of page

`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` 공공IT 적용 50% 돌파


정부 시스템 필수기능 미리 구현 개발 비용·시간 단축 돕는 플랫폼 도입 8년만 기업 절반 넘게 채택

정부가 중소기업의 정보화사업 참여기회 확대와 정보시스템 품질 향상을 위해 구축한 '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'의 공공IT사업 적용률이 50%를 넘어섰다. 도입 8년만에 이뤄낸 결과로, 표준프레임워크가 공공정보화사업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다. 14일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추진된 1143개 공공정보화사업 가운데 611개에 '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'가 적용됐다. 비율은 53.5%에 달한다. 기업들의 표준프레임워크 플랫폼 누적 다운로드 건수 또한 올해 처음으로 60만건(61만9520건)을 넘어섰다.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전자정부 시스템 소프트웨어(SW) 개발에 필수적인 기본기능들을 미리 구현해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 플랫폼이다. 건설이나 건축분야 시공 시 핵심자재들을 모듈화해 비용과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기법과 유사한 개념이다. 시스템통합(SI) 기업들은 표준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기반환경 위에서 공통모듈(컴포넌트)은 재사용하고 각 서비스의 고유 기능만 자체 개발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. 최근 3년간(2014년 41.2%, 2015년 40.0%, 2016년 42.3%) 40% 수준에 머무른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적용률이 단숨에 50%를 돌파한 배경엔 관련 법률, 제도 정비가 주효했다는 평가다. 행안부는 지난해 12월 '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·운영지침'에 표준프레임워크 도입 규정을 신설했다. 행정기관이 정보화사업에서 SW를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활용을 우선 고려하도록 한 것. 표준프레임워크를 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사업 참여기회가 크게 늘어난 점도 적용률 50% 돌파의 요인이다. 표준프레임워크가 개발되기 전에는 국가 정보시스템들이 특정업체의 프레임워크로 구축되다 보니 사업자 종속에 따른 비용증가와 중소기업 입찰제한 같은 폐단이 발생했다. 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2009년 표준프레임워크 구축 전 전자정부 사업의 약 71%가 삼성SDS, LG CNS, SK(주) C&C 등 빅3 SI기업과 일부 IT기업이 보유한 프레임워크로 구축됐다. 이와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"표준프레임워크 구축으로 인해 개발 기반 자체가 표준화되고 특정업체 종속성이 사라졌다"며 "이를 통해 기업 간 필수 SW 개발이 중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고 중소기업은 표준프레임워크를 활용해 정보화사업 참여 기회를 늘릴 수 있었다"고 말했다. 행안부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3.7버전을 현재 배포하고 있다. 진흥원 관계자는 "표준프레임워크 활용을 더욱 확대해 공공 SW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전자정부 시스템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"이라고 말했다. 임성엽기자 starleaf@dt.co.kr


bottom of page